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이란?
세계지질공원은 지질학적 가치를 지닌 명소와 경관을 보호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며 관리하기 위해 유네스코가 승인하는 곳입니다. 세계지질공원에서는 지역사회와 파트너십을 통해 지역의 지질유산을 활용하여 지역주민의 사회·경제적 필요를 충족하면서 그들이 살고 있는 지질경관을 보호하고 정체성을 강화하도록 돕습니다.
우리나라의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목록
지질공원 | 지정연도 | |
---|---|---|
1 | 제주도 | 2010 |
2 | 청송 | 2017 |
3 | 무등산권 | 2018 |
4 | 한탄강 | 2020 |
참고
- 국제지구과학지질공원프로그램(IGGP: International Geoscience and Geoparks Programme)이란?
IGGP는 국제지구과학프로그램(IGCP)과 유네스코세계지질공원프로그램(UGGp)으로 나뉩니다.
유네스코 국제지구과학프로그램(IGCP)은 유네스코가 국제지질연맹(IUGS)과 공동으로 지원하는 국제협력연구 프로그램입니다. IGCP는 자원고갈 및 환경파괴, 자연재해 예방 및 방지, 기후변화 대응 등 우리의 행성인 지구에서 발생하는 지질학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세계 지구과학자들의 네트워크 및 국제협력연구를 촉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특히, 수리지질, 생태, 해양, 대기, 생물 등 지구환경생태 보전을 위한 연구를 지원하고 개발도상국의 지구과학적 기술과 역량을 향상시킴으로써 지속가능발전을 이행하는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5개 지구과학분야: 지질자원, 지구환경변화, 지질재해, 수리지질, 지구역학
유네스코세계지질공원프로그램(UGGp)을 통해 지질학적으로 보전 가치가 있는 곳을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해 지질유산을 보전하는 한편, 지역 사회가 지속가능하게 발전하도록 돕고 있습니다.
- 국가지질공원 및 국가지질공원사무국
우리나라는 ‘국가지질공원’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지구과학적으로 중요하고 경관이 우수한 지역으로서 이를 보전하고 교육·관광 사업 등에 활용하기 위하여 환경부장관이 인증한 공원입니다.
우리나라의 국가지질공원이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을 신청하기 위해서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인증 신청 지침」에 따라 세계지질공원 후보지가 되어야 합니다. 세계지질공원 후보지 신청은 국가지질공원 인증 이후 1년이 경과해야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국가지질공원을 관리하고,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사업에 효율적으로 참여하고 국내에 도입, 발전시키기 위해 국가지질공원사무국이 설립되어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